오늘은 주식의 기본 용어에 대해 많이 배워 보려고 합니다.
어떻게 보면 주식공부하는데 있어서 기본중에 기본인데요.
저도 주식공부할때 멘붕을 당했던 부분이기도 합니다.
PER, PBR, ROE... 등등 들어보신적은 있으시죠? 그런데 이것이 무엇인지 도대체 감을 잡을 수가 없습니다.
이것은 주식 분석을 위한 재무재표에 있는 단어들인데요. 하나하나 쉽게 알아보겠습니다.
1. PER
PER은 가격 수익률입니다.
기업은 매출과 순이익을 창출합니다. 주가는 주당 순이익으로 나누고요.
PER은 10정도가 표준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를들면, 주가는 높고 순이익은 낮을수록 PER이 커집니다. 반대로 주가가 낮고 순이익이 클수록 PER이 작아집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의견은 다음과 같습니다. PER이 10 이하일 때는 '낮은 PER 종목'으로 분류된다고요.
2. PBR
PBR은 장부가액비율의 약자입니다.
주가는 주당 순자산으로 나누며 순자산은 손익계산서에 없습니다.
재무재표에서는 총 자본금을 볼 수 있으며, 총자산에서 총부채를 빼면 되는 것입니다.
원칙적으로 PBR은 회사가 그걸 없애면 주주들이 주당 받을 수 있는 자산입니다.
즉, PBR=1은 주당 순자산이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PBR이 1보다 작으면 기업을 정리할 때 순자산가치에 미치지 못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3. ROE
ROE는 Return On Equity라고 불리며, 즉 자기자본이익률이라고 합니다.
회사가 투자한 자본을 이용해서 그들이 얼마나 많은 이익을 얻었는지 보는 것입니다.
ROE가 높을수록 수익성이 높습니다. 회사들은 더 많은 돈을 더 번다는 뜻이며, 앞으로 더 탄탄해질 기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국내 테마주의 경우, 다른 건 몰라도 ROE는 꼭 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테마주는 대부분 사회 분위기에 따라서 주가가 오르는데 그냥 뛰어들게되면 높은가격에 물려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게 됩니다.
4. EPS
EPS는 주당순이익이라고 불립니다.
각각의 몫이 얼마나 많은 이익을 냈는지 보는 것입니다.
어떤 면에서는, 회사가 벌어들인 수익 중에서, 나의 몫이 얼마인지 알 수 있는 것입니다.
EPS는 순이익이 높을수록 수치가 커지며, 이 EPS가 클수록 투자에 높은 흐름을 예상 할 수 있겠죠?
사실 많은 회사의 주식이 재무재표와는 상관없이, EPS, PER, PBR, ROE 등을 제외하고, 차트가 치솟거나 급락합니다.
하지만 위에 알아본 것들을 보조 지표로 본다면 더 많은 위험에 대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좋게 볼 수 있을 겁니다.
주식에 투자함에 있어서 당신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